나카오유적(톳토리현 쿠라요시시)  야요이시대 중기 후엽(약 2000년 전) 中尾遺蹟(鳥取縣 倉吉市) 彌生時代中期後葉(約2000年前)

일본해(동해)측의 야요이취락에서 국내 가장 긴 박재 철기 출토

오래 전부터 사람들의 활동이 이어진 요지

 나카오유적은 톳토리현 중부의 쿠라요시시에 위치한다. 일본해(동해) 연안에서 7km 정도 남쪽으로 떨어진 쿠라요시시 오오타니(大谷)의 낮은 구릉상에 입지하며 구릉의 남쪽으로 텐진천(天神川)의 지류인 코우천(國府川)이 흐른다. 인근에는 히가시마에유적(東前遺蹟)과 코쿠분지고분(國分寺古墳), 사적 호우키 국청지(伯耆國廳址), 사적 호우키 코쿠분사지(伯耆國分寺址) 등 각 시대의 중요한 유적이 집중되어 있어 당시 이 지역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을 말해준다.

 나카오유적은 공업단지 조성에 의해 1991년에 제1차, 2014-2016년에 제2차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구석기시대의 석기와 죠몽시대의 수렵에 사용된 함정 159기, 야요이시대의 수혈건물 25기, 굴립주건물 21기, 고분시대 후기의 고분 2기 등이 확인되어 긴 세월에 걸쳐 사람들이 활동한 장소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19-2021년에 실시된 제3차 조사에서는 야요이시대 중기에서 고분시대 전기에 걸친 수혈건물 11기, 고분시대 중기에서 후기에 걸친 고분 25기 등이 확인되었다.

 제3차 조사에서 발견된 야요이시대 중기 후엽의 수혈건물에서는 완형 철모 1점과 철부 2점이 출토되었다. 철모는 한반도에서 반입된 것으로 보이며, 길이 54.3cm로 국내에서 출토된 철모 중 가장 길다. 철부는 철을 두드려서 늘려 만든 단조품의 판상철부와 녹인 철을 거푸집에 흘려 넣어 만든 주조철부로, 판상철부는 한반도제로 추정되며 국내최대급으로 길이 27.5cm, 주조철부는 중국제로 보이며 길이 11cm이다.

 일본열도에서는 야요이시대 전기 말경에 철기가 출현하였으나, 대륙과 한반도에서 반입된 철기는 야요이시대 중기가 되어도 매우 드물고 귀중했다. 철기의 출토는 북부 큐슈(九州) 유력자의 무덤 부장품이 주를 이루며, 나카오유적과 같은 수혈건물에서 철모와 철부가 함께 발견된 예는 야요이시대 유적에서는 유일하다.

철기를 그대로 둔 채 수혈건물을 소각

 철기가 출토된 수혈건물은 야요이시대 중기 후엽에 해당되며 취락의 서쪽 끝 인근에 위치한다. 수혈건물은 직경 약7.5m의 원형으로 지붕을 지탱하는 기둥구멍 6개가 발견되었다. 당시의 수혈건물로는 큰 편으로 화재로 소실 된 것으로 보이며, 불에 탄 구조물과 지붕재가 남아있었다. 3점의 철기는 모두 불 타 쓰러진 들보와 지붕 아래에서 발견되었다. 철모는 원래 기둥 근처의 바닥에 꽂혀서 세워져 있었던 것이 쓰러진 것으로 보인다. 판상철부 또한 같은 기둥의 아랫부분에 꽂혀진 상태로 발견되었다. 주조철부는 기둥구멍에서 50cm 정도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다. 3점 모두 자루는 발견되지 않았다.

 출토상황으로 미루어 수혈건물이 화재로 소실될 당시 3점의 철기는 건물 내에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는데, 화재의 원인이 실화일 경우 귀중한 철기를 건물 밖으로 반출했을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추정해 볼 때 3점의 철기는 의도적으로 건물 내에 남겨진 채 제사나 의례를 위해 건물을 불태웠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철기를 그대로 둔 채 수혈건물을 불태우는 예는 전국적으로 발견된 예가 없다.

 금번의 발굴조사에서는 박재철기 분포의 중심이 북부 큐슈였던 시기에 멀리 떨어진 톳토리현 내륙인 나카오유적이라는 취락에서 철모와 철부를 보유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고, 기존의 철기 보급 상황을 재검토 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북부 큐슈의 취락이 대륙과 깊은 관계를 갖고 왕성한 교류를 하던 시기에 나카오유적과 관련이 있는 일본해(동해)연안의 취락은 북부 큐슈를 통하지 않고 대륙과 한반도로부터의 박재품을 취득했을 가능성이 있어 이것은 야요이시대 철기 유통루트를 생각할 때 중요한 단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철기들이 불에 탄 수혈건물에서 출토된 점은 당시 철기의 성격과 이용방법을 생각하는데 있어 새로운 자료이다. (片岡啓介)

불 탄 수혈건물에서 출토된 철모 1점과 철부 2점

불 탄 수혈건물에서 출토된 철모 1점과 철부 2점

철모는 기둥 아랫부분에 가로로 놓여진 채 발견되어 꽂혀서 세워져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판상철부는 자루에 부착하는 쪽이 기둥의 아랫부분에 꽂혀 있고 날이 위를 향하고 있다. 모두 목제 자루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지만 발견 당시 자루는 확인되지 않았다. 철기 자체에도 사용 흔적이 보이지 않아 자루를 장착한 본래의 사용법으로 이용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유적 위치

유적 위치

Iron pike, board-shaped iron axe, cast iron axe (from the left)

철모・판상철부・주조철부 (왼쪽부터)

철모는 야요이시대 출토품 중 국내에서 가장 길다. 한국 다호리유적 출토 철모(약59cm)와 유사하다.

길고 크지만 날이 얇아 실용품은 아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판상철부는 국대 최대급으로 한국 다호리유적, 늑도유적 출토품과 유사하다. 주조철부는 2매의 거푸집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유적전체도

유적전체도

Tomb No. 1

1호분

직경 약 22m의 가장 큰 고분은 주위가 14기의 묘광으로 둘러싸여 있다.

철기가 출토된 수혈건물 전체도

철기가 출토된 수혈건물 전체도

불타 무너진 수혈건물(서쪽 부분)

불타 무너진 수혈건물(서쪽 부분)

동쪽 부분은 제2차, 서쪽 부분은 제3차에서 조사되었다. 위에서 보면 건물을 구성하는 대들보와 서까래(건물의 중심에서 벽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늘어선 골조)의 배치를 잘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