発信者
国際交流委員会
本文

北条氏处于最前线的城池 揭示了与上杉谦信的激战

 骑西城址和骑西武家屋敷址位于流经关东平原中央的利根川的泛滥平原―加須低地上形成的小丘(海拔12米)上。骑西城是从战国到江户时代初期(约十五世纪中叶至十七世纪初)的城池。1455年,古河公方足利成氏一族聚集在崎西郡(骑西城)攻击关东管领方,这是骑西城首次在文献中出现。后于战国时代后期的1563年和1574年,骑西城曾一时由小田原北条氏占领,但随后被上杉谦信攻占并纵火烧毁。至1590年,德川家康入侵关东,由松平氏和大久保氏等谱代大名担任城主,但骑西城最终还是在1632年被废弃。

 江户时代初期的绘图显示,骑西城的城郭部分被沼泽环绕,由本丸、二之丸、马屋曲轮、天神曲轮、五之丸和六之丸等六个曲轮构成。虽然没有可靠的战国时代绘图,但通过考古发掘可知城池的部分区域已经被改造。

 自昭和55年以来,有关部门已经对此遗址进行了多达80多次的考古发掘。并且从昭和58年开始,已持续13年对城郭部分和武家屋敷址的西部进行了调查。虽然发现了很多与生活相关的遗迹,如壕沟、桥梁、井、土坑、以及陶瓷器、漆器等,但本次将重点介绍与战争相关的发现。

 此遗址中,需要特别注意的遗迹是障子堀。这种堀沟在底部设置了类似障子栈的障碍物,围绕城郭及其南侧(外沟)设置了双重防御。障子堀在与北条氏有关的城池中较为常见,如小田原城、山中城等都有所发现。但在骑西城的五之丸南侧发现的障子堀,其最大宽度达到了48米,属于全国最长级别的。

 根据《伊藤本文书》(东京大学历史资料编纂所所藏)记载,永禄六年(1563年),上杉谦信前往救援被北条氏康和武田信玄围攻的松山城,但未能及时赶到,于是转而攻取了骑西城。这些遗迹看来就是那个时期的。

 从遗址出土的遗物中,最为引人关注的是带有錣和吹返的头盔。像这种头盔从遗址中出土的情况,放眼全国也是极为罕见的。从圆形的钵和錣的形状来看,可能属于越后系,应该是上杉谦信方的武将所佩戴的头盔。此外,从外堀出土了马铠和作为火绳枪部件的火绳夹,外堀南侧则出土了头盔的前立,而在调查区全域还出土了约1000件弹丸。这些发现揭示出火绳枪在战斗中被使用,且遗址内曾进行过规模庞大的战争。

 骑西城的南侧区域出土了3枚金币和附着有熔融物的陶器。科学分析表明,这里曾生产和制造武器、装饰品的合金金属。由此我们可知,除了全国范围内的战国大名城池和大都市,像骑西城这样规模较小的城池也会普遍地进行这种生产活动。

 骑西城由于位于低地区域,因此出土了多种多样且保存良好的遗物。庞大的障子堀、头盔、金马铠和金前立等发现,重现了在最前线的城池内战斗的华丽战国武将的形象。并且,此遗址对于研究战国时代到江户时代初期城郭中的生活和生计也具有重要意义。(鸠村英之)

环绕五之丸东部和南部的障子堀(从西北方向,于平成元年拍摄)

深约1米的堀(壕沟)底部被进一步向下挖掘约1米,呈沟状(其中一些设有隔板)、正方形或长方形,以增强其防御性。最大宽度为48米,属于全国最长级别的。

战国时代后期(16世纪下半叶)的势力图

骑西城位于小田原北条氏和越后的上杉谦信两势力交锋的最前线。

像障子一样的隔断整齐地排列在沟状的护城墙上(五之丸南侧)

骑西城配置图(根据江户时代初期的地图绘制)

障子堀环绕着城郭周围和其南侧(外堀),形成双层防御结构。在五之丸附近的障子堀中出土了作为武器类的头盔、薙刀(长柄镰刀)、马嚼子,以及作为生活用品的烧焦的漆碗、木屐、桶板,碳化的稻谷、稷子、粟、棉花、装在袋子里的708枚金币,人类头骨等。此外,在桥的中心位置出土了99件石制圆盘,推测可能是用于御敌的投掷石。

十六间筋头盔

吹返和錣由213片皮革小片通过皮革绳连接而成,且涂有黑漆。目前,皮革已腐烂,仅留漆层。其正面配备了用于固定前立的祓立。此时期的东国(关东)制作的头盔从上方看呈蛋形,而此头盔为圆形,所以是越后系的头盔。此物长26.5厘米,宽24.2厘米,高15厘米。

头盔的出土情况

从五之丸附近的障子堀底部出土。应该是大将级别的头盔,可能在上杉方的大将进攻到此地点时发生激战并遗失。

马铠

140片小札(每片2.4厘米见方)缝于马铠的布匹之上。皮革小片上涂有黑漆,并在其表面贴有金箔。北条氏的军备文献中有“给马穿上金铠”的记载。

腰刀

从双重障子堀之间的沟底出土。柄部覆盖着贴有金箔的鲨鱼皮,护手处呈现出金色光泽。刀身几乎完全锈蚀。全长30厘米。

火绳夹和弹丸

火绳夹是火绳枪的部件。说明出现于战国时代后期的火绳枪,在骑西城也得到了应用。制成弹丸的材料有铅、铜、铁。在出土的约100件弹丸中,铁制的仅有6件,其余则是铜制和铅制各半。火绳夹的长度为10.5厘米。

金币(或是用于生产金属器的原料)

在小判金流通之前的金币,并且是以重量来计算价值的“秤量货币”。出土的蛭藻金品质优良,其纯度高达90%。而且当时的人们对蛭藻金和切金进行了进一步处理,以改善金的色泽。蛭藻金的长度为4.8厘米,重15.8克(相当于1两)

 

引自:文化厅 2023《被发掘的日本列岛2023 调查研究最前线》共同通信社

発信者
国際交流委員会
本文

长盛不衰的地方豪族墓地 从葬骨器中发现大量火葬人骨

 立部遗址及立部古坟群址位于台地上。其北侧是长尾街道,南侧是竹内街道,距北约500米处有全国第五大的河内大塚山古坟(长约335米)。平成二年,因市立运动广场设施整修,相关部门对台地中可以看到的谷地进行了发掘调查,发现并确认了古坟时代中期下半叶一直到平安时代前期(约400年间)持续存在的豪族墓地。

 古坟时代中期下半叶至后期,此地建造了包括六座方形古坟和一座圆形古坟在内的古坟群。其中,最先建造的方形古坟在古坟群中规模最大,埴轮数量也最多。紧接着人们又建造了一个同等规模并摆放埴轮的圆形古坟。随着后五座规模较小且没有放置埴轮的方形古坟的出现,该古坟群的建造终于画上了句号。

 随着发掘调查的进行,各墓葬的年代逐渐变得清晰。具体来说,飞鸟时代建有一座土坑墓,奈良时代和平安时代初期各有一座火葬墓,平安前期又建造了一座土坑墓和一座木棺墓。关于埋葬方法,发生了土葬到火葬,又回归到土葬的转变。这些古代墓葬中都陪葬有被葬者的日常用品或用于葬礼仪式的物品。

 此遗址中特别引人注目的是平安时代初期(9世纪上半叶)的火葬墓。虽然地面上的土堆没有保留下来,但竖穴中心埋葬的骨壶—须惠器壶和盖,以及骨壶周围填充的木炭均保存良好。须惠器壶和盖的产地未知,但由于其形状与畿内产品不同,因此推测可能是畿外生产的。须惠器壶和盖子用黏土固定和密封,得益于此,壶内保留了一名男性约一半的骨量。对于火葬墓而言,能残存如此多的骨量是非常难得的。

 通过对火葬墓进行人类学分析,我们发现:①从骨骼的焦裂和变形来看,火葬是在肌肉和腱子肉还残留的状态下进行的;②放置在骨壶中的骨骼以头骨和四肢的骨骼为主,胸部到腹部附近的骨骼较少,这表明可能进行了分骨;③骨壶中的骨骼并非有规律地放置。

 关于被葬者,我们通过人类学分析,以及对火葬骨、遗址土壤、骨壶内出土烧土的成分进行分析,可知:①被葬者为一名成年男性(40~50岁);②身高约158~160厘米,其上半身活动较多;③摄取过相对高营养的饮食;④大约在公元800年左右死亡,并在本遗址周边将其火葬。另外我们根据使用须惠器壶作为骨壶,以及骨壶周围填满木炭等线索,推测该被葬者可能来自下级官人辈出的当地豪族。虽然没有直接与之相关的文献史料可确认此氏族的姓氏,但至少可以推断,自古坟时代中期起,此遗址周边就是某一当地豪族的立足之地。

 总而言之,立部遗址、立部古坟群址不仅展现了神秘豪族墓地的生活面貌,还明确了骨壶的使用方法以及遗骨是如何埋葬的。因此,该遗址对于揭示古代当地豪族的墓葬制度具有重要意义。(樫木规秀)

调查地一带的航空照片(1842年)

台地内存在谷地,并利用这些谷地建造了排列成行的蓄水池。如今,这些蓄水池大多已被填埋。

遗迹分布图

发现了古坟和飞鸟时代~平安时代前期的墓葬。通过出土遗物以及古坟和古代墓葬的位置关系可知,这些古坟直到飞鸟时代依旧被当地人管理着。

飞鸟时代的土坑墓

奈良时代的火葬墓

与骨壶一同出土的有壶、平瓶,均为须惠器。横瓶表面有裂纹和陶器的熔接处,说明为残次品。并且里面发现有少量火葬人骨的小碎片。横瓶的长度为31厘米,高度为23厘米。

平安时代的木棺墓

在木棺的同位置有铁钉出土。木棺内北侧陪葬了须惠器的小壶和土师器的盘和豆。其中三件土师器的盘和豆是叠放的。木棺长180厘米,宽62厘米。年代属平安时代前期。此照片从西向东拍摄。

引自:文化厅 2023《被发掘的日本列岛2023 调查研究最前线》共同通信社

発信者
国際交流委員会
本文

古坟围沟处堆积的埴轮 揭示了建造古坟时的准备情况

 下里见天神前遗址位于群马县中南部的高崎市下里见町。下里见町坐落在群马县和长野县边界上的以鼻曲山(海拔1654米)为源头的鸟川右岸。鸟川的流经使河岸形成了上层、中层和下层阶地,下里见天神前遗址就位于下层阶地上。这个地区在古墳时代建造了许多古墳,形成了里见古墳群。本次介绍的下里见天神前遗址位于这一古墳群的东南端。

 随着西毛广域干线道路的施工,相关部门于令和二年对下里见天神前遗址进行了发掘调查。在调查中,发现并确认了绳纹时代中期中叶和古坟时代至平安时代的竖穴式建筑,以及在天仁元年(1108年)被浅间山喷发出的浮石所覆盖的水田。并且还发现了三座古坟时代后期的圆坟,其中有埴轮出土的3号坟非常引人注目。

 三座圆坟中,1号坟的坟丘直径为12米,2号坟为4.9米,3号坟为15米(预估),其中3号坟规模最大,并建造在最高的位置。虽然目前只对3号坟进行了阶段性调查,但我们确认了横穴式石室的挖掘方式以及填充石的存在,并且从坟丘和围沟中还出土了埴轮。

 3号坟的坟丘上排列着底部埋于土中的圆筒埴轮,这些埴轮相互间隔大概30厘米。埴轮周围散布着陶片,能够确定完整形态的只有一件。其高度为29厘米,属于较矮的类型。

 并且,调查人员在围沟内部东西宽1.4,米、南北长2.2米的范围内发现了堆积在一起的23件埴轮和2件须惠器。埴轮的类型包括1件马形埴轮、1件人物埴轮、17件圆筒埴轮和4件朝颜形埴轮;须惠器则分别是1件直口壶和1件提瓶。马形和人物埴轮的摆放位置相近,而圆筒和朝颜形埴轮则是分开放置的。其中马形和朝颜形埴轮依靠在围沟壁上,圆筒埴轮则像多米诺骨牌一样倾倒着摆放。此外,两件须惠器也是放置在相近位置的,这说明以上遗物均是按照类别分开放置的。值得一提的是,提瓶的底部由于受外力敲击而形成了一个破开的洞。

 埴轮通常会被排列摆放在古坟的坟丘等地方,像3号坟这样在围沟内集中出土的情况极为罕见。考虑到附近不太可能存在埴轮窑,并且出土于围沟内部的圆筒埴轮高度与立于坟丘上的明显不同,因此这些埴轮是为了3号坟而制作的可能性也不大。虽然目前还不清楚是何原因导致出现了以上的情况,我们推测可能是为了附近的古坟而制作,但由于某种原因未被使用并遗弃在此处。在群马县的其他遗址中,也有在古坟的围沟旁或附近不存在古坟的土坑内出土倾倒着摆放的埴轮的例子。这次下里见天神前遗址的发现,对于了解埴轮的流通和立起来摆放的堆积形态有很大帮助。(大西雅广)

3号坟围沟内的埴轮出土情况(由东向西拍摄)

马形埴轮和朝颜形埴轮应该是靠在围沟壁上。

3号坟测量图和埴轮堆积处的扩大图

埴轮应该是围沟填埋约10厘米时放置进去的。散落在圆筒埴轮和朝颜埴轮上的埴轮片中,并未包含可以放置在坟丘上的埴轮。

坟丘和围沟的埴轮出土情况(左为北)

右下坟丘中排列着底部被埋没的圆筒埴轮,右上围沟中的埴轮和须惠器则以堆积状态出土。

人物埴轮

头部仅保留了下垂的发丝。由于腰间插有镰刀,并与马形埴轮一同出土,推测为马夫。其高度为62.4厘米。

马形埴轮

器身涂有红彩,朝向围沟壁一侧(照片所示面)颜色鲜艳,另外一面则有剥落和褪色现象。所以埴轮在埋葬之前可能暴露于直射日光等环境之中。其高度为86厘米。

圆筒埴轮:

左侧埴轮颜色偏红,中间埴轮偏白,但胎土和成型特征相同。右侧坟丘出土的埴轮在高度和成型特征上明显不同于左侧两件。高度:左侧35.9厘米,中间38.9厘米,右侧29厘米

引自:文化厅 2023《被发掘的日本列岛2023 调查研究最前线》共同通信社

発信者
国際交流委員会
本文

在高地性聚落中发现了小型仿制铜镜和锻造炉

 惣ヶ池遗址位于大阪府和泉市北部的信太山丘陵,坐落在海拔50-60米的一处高地上。大约两千年前建立在山顶或丘陵脊上的聚落一般被称为高地性聚落。该遗址于昭和35年被发现,随后相关部门在昭和40年、44年和平成23年对其进行了发掘调查并发现了包括竖穴式住居、沟渠和柱穴在内的多种遗迹。虽然有迹象表明该集落内可能进行过铁器加工,但尚未找到确凿的证据。

 在令和三年(2021年)的发掘调查中,除了发现约1900年前的弥生时代后期中叶的竖穴式住居、沟渠和柱穴等遗迹外,还检测到了具有锻造炉的竖穴式住居。通过这次调查,确认了聚落的规模为长度420米,宽度60-80米。尽管如此,依旧未能证实该聚落内进行过铁器加工。本次发掘出土的遗物包括弥生时代的陶器、石制菜刀以及石器等,其中最引人注目的是近畿地区最古老的小型仿制铜镜。以上所提及的锻造炉和小型仿制铜镜对于研究近畿地区弥生时代后期的金属器文化具有极其重要的意义。

 发现锻造炉的竖穴式住居应该是一个由六根柱子支撑的直径为9.8米的大型建筑。其中心位置有一个坑(洞),周围1.25米的半径范围内集中了大量的炭和烧土。另外,在这个坑的外围也有比较分散的炭和烧土。值得注意的是,中心坑及其周围的炭、烧土被一个コ字型沟渠所环绕。根据这些建筑遗迹的特征,以及从建筑内部出土的砥石和敲石等少量遗物来看,中心坑周围很可能是一个用于制造铁器的锻造炉。这种锻造炉周围被コ型沟渠环绕的结构是非常独特和罕见的。

 在惣ヶ池遗址出土的小型仿制镜是日本制造的,其设计模仿了当时中国汉王朝的铜镜。此物品发现于考古调查区东南角的一个土坑中。由于经年劣化,铜镜背面的纹饰已变的模糊不清。但是通过应用三维测量技术和图像处理技术,我们能够确认此镜的背面是尽可能地复制并还原了汉王朝的“symble_01”,“symble_02”等纹饰。此外,由于边缘部分较窄,以及捉钮(中央捉钮)的形状为半球形,因此此铜镜应该是近畿地区最古老的小型仿制镜之一。

 总的来说,惣ヶ池遗址是和泉地区规模较大的聚落之一,拥有诸如近畿地区最古老的小型仿制镜等珍贵的青铜器和铁器,并且铁器在此处进行过制作的事实也逐渐明朗。高地性聚落曾被认为是用于避难的城堡或防御性聚落等封闭和特殊的地方,但近年来,包括聚落的存在期间段、出土遗物和聚落的眺望等在内的多角度研究正在进行中。在这样的研究背景下,惣ヶ池遗址作为一个较早接纳最先进物品和技术的先进聚落,对于未来高地性聚落、和泉地区乃至整个日本列岛弥生时代晚期社会的研究,都具有重要的学术价值和意义。(上田裕人)

惣ヶ池遗址及其周边同一时期的聚落(标记为●)

丘陵上有同为高地性聚落的观音寺山遗址和大野池遗址。丘陵区域(绿色部分)的海拔约为50米。此地图是对弥生时代地形的推测和复原。

遗址远景(从东南方向拍摄)

从拍摄点可以眺望到大阪湾北侧的六甲山系和西侧的淡路岛。另外,在拍摄点西北方向2千米的地方是弥生时代的重要聚落―史跡池上曽根遗址。

出土铁器锻造炉的竖穴式建筑(从西北方向拍摄)及其线图

竖穴式建筑中央的坑周围分布着炭、灰和烧土,并被一个コ字形的沟包围着。

引自:文化厅 2023《被发掘的日本列岛2023 调查研究最前线》共同通信社

発信者
国際交流委員会
本文

面向三陆海的/縄文时代后期~晚期的贝丘

 大久保贝塚位于宫城县东北部的志津川湾最深处,该地区在东日本大地震海啸中受到了严重的破坏。在平成26年度的复兴工程调查中确认发现该贝丘,后在令和元年和二年的进一步调查中,研究人员将上层贝层分为縄文时代后期中段和后段(约2800至2600年前)两个时期。值得注意的是,从上层贝层中出土了大量的遗物,随后调查人员利用网格为1毫米的筛网对贝层的土进行了细致的筛选,尽可能将所有遗物予以收集。

 下层贝层是一个小规模的层面,形成于最底层的平坦沙砾层之上,其分布范围横跨东西约10米、南北约5米。除贝壳外,还出土了少量的陶器和石器。出土的贝壳表明在潮滩等地方采集的牡蛎是当时人们饮食的一部分。沙砾层的表面还发现了十几处火烧痕迹,这表明在后期河边或海边人们曾进行过零星的活动,如垃圾废弃和生火等。

 上层贝层横跨东西方向约17米,其中东侧的部分最厚,西侧则比较薄。贝层东侧出土的贝壳和骨头保存状况良好,应该是当时的食物残渣。除此之外,还发现了多种生活用具,如陶器、石器和骨角器,以及用于祭祀仪式的各类物品,包括陶偶、陶面具和石棒等。

 出土的贝壳和鱼类骨头主要来源于湾内的沙滩,其中包括容易捕获的蛤蜊和经常沿岸回游的沙丁鱼。此外,从约3万件出土的鸟兽类骨骼来看,野猪、鹿、鹈鹕、鸭、野鸡等是主要的狩猎对象。值得注意的是,还出土了带有石镞的金枪鱼和鹿椎骨(背骨),这些珍贵的发现表明当时人们是使用鱼镖和弓箭进行渔猎和狩猎活动的。

 在贝丘内,还发现了大量可证明与其他地区进行过交流的遗物。这些遗物包括与岩手县北上川中游地区特征相似的陶器,以及从此地区带来的黑曜石制成的石器,还有主要产自日本海岸,被用作粘合剂的天然沥青块。另外,还出土了些许来自遥远地区的物品,例如用伊豆群岛及屋久岛以南地区生活的星状帽贝制成的装饰品等。

 大久保贝塚是縄文时代后期主要用作处理贝壳的场所。但到了晚期,人们不仅对周边山林和河海的资源进行了有效利用,还将来自遥远地区的多种多样的鱼类、贝类、动物和石材作为食物和工具,并将此处作为废弃场所丢弃使用后的食品、物品。随着震后重建工作的开展,相关部门对三陆沿岸的大部分縄文时代贝丘进行过调查,其中后期中叶以后的较少,并且确定位于志津川湾内部的也只有此贝丘。所以说这一发现不仅对三陆沿岸,甚至对于阐明整个东北地区縄文时代的生活和环境利用的变迁也具有重要意义。(西村力/梅川隆宽)

贝层南北断面(从东方向拍摄)

贝层上层部分最厚处约为75厘米。根据构成贝层的贝壳和土壤的不同,有的地方甚至可以细分成300多层。贝层下层部分最厚处仅约10厘米。

遗址远景(从东北方向拍摄)

贝丘位于从西侧延伸而来的丘陵东部的北斜坡上。与之相邻的水尻川从眼前的国道45号穿过,并汇入志津川湾。

被石镞击穿的金枪鱼骨(左侧照片)和鹿的椎骨

通过观察可知,石镞似乎是从鲔鱼头部的斜上方插入。并且由于作为狩猎工具的石片嵌入过深,鹿的椎骨因此被保留了下来。以上骨骼均从贝层上层部分出土。刺入鲔鱼椎骨的石镞头长度为2.8厘米,鲔鱼椎骨的直径为3.9厘米,鹿椎骨的直径为2.9厘米。

贝层上层部分出土的陆生哺乳动物

野猪、日本鹿、狼、狗、狐狸、狸、水獭、貂、鼬、野兔、鼯鼠的头部骨骼。从贝层上层部分出土了超过2万件兽骨。其中约7成是野猪和日本鹿,且未满1岁的年幼野猪居多。

贝层上层部分出土的骨角牙贝制品

①-⑤属于由鹿角制成的狩猎、捕捞用具。复合式鱼镖(②)成对安装在柄上,并在柄首安装逆刺(③)以防被夹住的鱼逃脱。⑥-⑩属于装饰品。其中的贝腕轮是由生活在伊豆群岛及屋久岛以南的星状帽贝制作而成。

贝层上层部分出土的石器、石制品

石镞、石锥、石匙是用无法在遗址周边采集到的硅质页岩等材料制作的,而其他的石器则是用周围能采集到的石材制成。所以当时的人们是根据工具的不同用途来选择相应石材的。石刀和岩手县北上川中游的类似,头部呈梯形。石棒残长23.9厘米。

贝层上层部分出土的陶器

深腹钵的长口沿上画有几条平行的线。这种类型的陶器在岩手县北上川中游地区的遗址中较为常见,而在宫城县则比较罕见。带流陶器、右侧浅钵和右侧壶上均画有晚期中叶特有的云形纹,而左侧浅钵和左侧壶上则绘有晚期后叶特有的工字纹。左侧浅钵口径为20.5厘米。

贝层上层部分出土的陶制品

陶面具顶部绘有绳纹时代晚期下半叶典型的π字纹。陶制耳饰和陶轮毂状耳饰应该是装饰品,上面有红色颜料着色。陶面具残长15.3厘米。

引自:文化厅 2023《被发掘的日本列岛2023 调查研究最前线》共同通信社

発信者
国際交流委員会
本文

호조(北条)씨 최전방의 성, 우에스기 켄신(上杉謙信)과의 격전지

 키사이성지, 키사이성 무사 저택지는 관동평야 중앙을 흐르는 토네강(利根川)의 범람원에 있는 카조저지(加須低地)에 형성된 낮은 구릉(표고 12m) 위에 입지한다. 키사이성은 전국시대에서 에도시대 초기(15세기 중엽~17세기 초)의 성으로, 1455년 코가 쿠보우(古河公方), 아시카가 시게우지(足利成氏)가 키사이군(崎西郡) 키사이성에 집결한 칸토관령(關東管領)을 공략하였다는 기록이 문헌상에 처음 등장한다. 전국시대후기 1563년과 1574년에는 오다와라 호조씨(小田原北条氏)의 성으로, 우에스기 켄신(上杉謙信)에 의해 침략당하고 불태워졌다. 1590년에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칸토에 진출하여 후다이(譜代, 대대로 섬기는 직접적인 가신)인 마쯔다이라(松平)씨와 오오쿠보(大久保)씨가 성주를 맡았으나, 에도시대 초기인 1632년에 폐성되었다.

 키사이성의 성곽부는 에도시대 초기의 그림에는 주위는 늪지로 둘러싸여 있으며, 혼마루(本丸)・니노마루(二ノ丸)・우마야구루와(馬屋曲輪)・텐진구루와(天神曲輪)・고노마루(五ノ丸)・로쿠노마루(六ノ丸)의 여섯개의 쿠루와(曲輪, 성을 구성하는 단위 구획)로 구성되어 있다. 전국시대에 해당되는 신뢰할 만한 그림은 남아 있지 않으나, 발굴조사에 의해 성의 일부가 개편된 것이 확인되었다.

 발굴조사는 1981년부터 80회 이상 실시되었으며, 1884년부터 13년간에 걸쳐 성곽부와 무사저택지 서편을 조사하였다. 해자・구・다리・우물・토광 등의 유구와 일상생활과 관련된 도자기류・칠기 등이 다수 확인되었으나, 이번에는 전쟁과 관련된 부분을 소개하고자 한다.

 유구에서 가장 주목되는 점은 격자형 해자(障子堀, 쇼지보리)이다. 해자의 바닥을 격자 모양으로 파서 장해 시설을 마련한 것으로 성곽의 주위와 그 남쪽(外堀)에 2중으로 둘러져있다. 격자형 해자는 호조씨과 관련된 성에서 많이 보이며 오다와라성(小田原城), 야마나카성(山中城) 등에서도 확인되었는데, 키사이성 고노마루의 남쪽에서 확인된 격자형 해자는 최대 폭 48m로 전국 최대급이다. 이토혼문서 ‘伊藤本文書’(東京大學史料編纂所 소장)에 1563년, 우에스기 켄신이 호조 우지야스・타케다 신겐(武田信玄)측에 포위당한 마쯔야마성(松山城)을 구원하기 위해 나섰으나, 때를 놓쳐 대신에 키사이성을 공략했다고 기록되어 있어 본 유구는 그 무렵의 것으로 보인다.

 유물로 주목되는 것은 목가리개와 목가리개 장식이 남아 있는 투구이다. 이러한 투구가 유적에서 출토된 예는 매우 드믈어 전국적으로도 희귀하다. 둥근 발과 목가리개의 모양으로 보아 에치고(越後, 현재의 니이가타현)계로, 우에스기 켄신 쪽의 무장이 착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 외부 해자에서 말갑옷과 화승총의 부품인 용두가, 외부 해자의 남쪽에서 투구 장식이, 조사구 전역에서 총알 약 100점이 출토되었다. 유적내 넓은 범위에서 전쟁이 벌어졌고, 화승총을 사용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성곽의 남쪽 구역에서는 금화 3점과 금속 용유물이 부착된 토기가 출토되었다. 과학분석 결과 이 구역에서 무구와 장식의 소재가 되는 합금을 만드는 금속 생산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국의 전국다이묘(戰國大名)의 성과 대도시에서도 확인된 것으로, 키사이성과 같은 소규모의 성에까지 보급된 실태를 보여주고 있다.

 키사이성은 저지에 입지하기 때문에 다종다양한 유물이 양호한 상태로 출토되었다. 대규모의 격자형 해자와 투구, 금제 말 갑옷, 금제 투구 장식에서 최전방의 성에서 싸우는 찬란한 전국무장의 모습이 되살아난다. 전국시대에서 에도시대 초기에 걸친 성곽에서의 생활과 생업을 살피는데도 중요한 유적이다. (嶋村英之)

고노마루의 동쪽과 남쪽을 돌아가는 격자형 해자(북서에서/1989년)

깊이 1m 가량 되는 해자 바닥을 다시 구상(내부에 칸막이를 만든 것도 있다) 또는 정방형, 장방형으로 1m가랑 파내려가 방어선을 높였다. 최대 폭 48 m는 전국최대급이다.

전국시대 후기(16세기 후반)의 세력도

키사이성은 오다와라 호조씨와 에치고의 우에스기 켄신과의 세력 다툼의 최전선이었다.

격자 모양으로 정연하게 배열된 해자 내부(고노마루 남쪽)

키사이성 배치도(에도시대 초기의 그림으로 작성)

격자형 해자는 성곽의 주위와 그 남쪽(外堀)에 이중으로 돌아가고 있었다. 고노마루 가장자리의 해자에서는 무기류인 투구・낫・재갈, 생활용구인 불탄 칠기와 나막신・나무통부재・탄화벼・수수・조・면, 주머니에 들어있는 동전 70장, 사람의 두개골 등이 출토되었다. 또한 다리를 중심으로 석제원반 99점이 출토되었는데, 이는 적에게 던진 투석으로 추정된다.

쥬록켄스지 투구(十六間筋兜)

목가리개와 목가리개 장식은 가죽 소찰 213매를 가죽끈으로 엮어 만들었다. 흑칠을 하였으며, 현재 가죽은 부식되고, 옻칠만 남아 있다. 정면에는 투구 장식을 세우기 위한 장식꽂이를 마련하였다. 이 무렵, 동국(東國, 칸토지방)에서 제작된 투구는 위에서 본 모습이 계란 모양이 일반적인데 반해, 이 유물은 원형으로 에치고계이다. 발은 앞뒤 폭 26.5cm, 가로 폭 21.2cm, 높이 15cm이다.

투구 출토상황

고노마루 가장자리의 격자형 해자 바닥에 놓여진 상태로 출토되었다. 대장급의 투구로 추정된다. 이 장소까지 우에스기측의 대장이 침입한 뒤 격투 중 흘린 것일 수도 있다.

말갑옷

한변 2.4cm의 소찰 140매를 천에 꿰매어 붙인 말갑옷이 접혀 쌓여진 상태로 출토되었다. 소찰은 가죽에 흑칠을 하고 표면에는 금박을 붙였다. 호조씨가 만든 군비 문서에는 “말에 금 갑옷을 입히라”라고 되어 있다.

腰刀(허리칼)

2중의 격자형 해자 중간에 있는 구 바닥에서 출토되었다. 손잡이는 상어가죽에 금박을 붙였으며, 날밑은 금색으로 빛난다. 칼날은 대부분 녹슬었다. 전체길이 30cm이다.

화승총의 용두와 총알

용두는 화승총의 부품이다. 전국시대 후기에 출현한 화승총은 키사이성에서도 활약하였다. 총알은 납, 동, 철제로 출토된 약 100점 중 철제가 6점, 나머지는 동제와 납제가 반반이다. 용두의 길이는 10.5cm이다.

금화(금속생산의 소재?)

소판(小判, 일본에서 유통된 금화 형태)이 유통되기 전의 금화로, 무게로 가치를 매기는 평량화폐(秤量貨幣)이다. 히루모금(蛭藻金, 수초인 가래(히루모)를 닮은 금화)은 순도90%로 고순도이다. 히루모금과 키리금(切金, 필요에 따라 잘라서 사용한 금화)에는 금의 발색 상태가 좋도록 처리되어 있다. 히루모금의 길이는 4.8cm, 무게는 15.8g이다(1량 상당).

출전 : 일본 문화청 2023『발굴된 일본열도 2023 조사연구 최전선』 공동통신사

発信者
国際交流委員会
本文

끊임없이 이어진 재지 호족의 묘지, 장골기에서 나온 다량의 화장인골

 타츠베유적・타츠베고분군은 대지상에 입지하는 유적으로, 북으로 나가오가도(長尾街道), 남으로 타케노우찌가도(竹ノ内街道)가 지나간다. 북쪽으로 약 500m 거리에 전국에서 다섯 번째 규모의 카와치오오츠카야마(河内大塚山)고분(분구 길이 약 335m)이 있다. 1990년 시립운동 광장 시설정비에 따라 대지 내의 계곡 지형을 조망하는 지점에 대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고분시대중기 후반에서 헤이안시대 전기의 약 400년에 걸쳐 끊이지 않고 조영된 지방호족의 묘지를 확인하였다.

 고분시대중기 후반에서 후기에는 방분 6기, 원분 1기로 이루어진 고분군이 형성되었다. 처음 만들어진 방분은 고분군내에서는 최대급으로 하니와의 양도 풍부하다. 다음으로 같은 규모에 하니와를 배치한 원분이 만들어졌고, 이후에는 전대보다 소규모에 하니와를 배치하지 않은 방분이 5기 만들어진 후 고분의 축조는 끝을 맺었다.

 이어서 연대가 알 수 있는 것으로는 아스카(飛鳥)시대의 토광묘 1기, 나라(奈良)시대와 헤이안(平安)시대 초기 화장묘 각 1기, 헤이안시대 전기의 토광묘 1기, 목관묘 1기가 있다. 장법은 토장에서 화장을 거쳐 다시 토장으로 돌아간다. 이들 고대 분묘에는 피장자의 일용품과 장송의례에 사용된 물건이 매납되어 있었다.

 유적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헤이안시대 초기(9세기 전반)의 화장묘이다. 지상의 봉분은 남아 있지 않았지만, 수혈의 중앙에 매납된 장골기인 스에키 호와 뚜껑, 장골기 주위에 매납된 목탄이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 스에키 호와 뚜껑의 생산지는 알 수 없으나, 키나이(畿内)지방 제품과는 모양이 달라 키나이 지방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된 것으로 생각된다. 호와 뚜껑은 점토로 고정 밀폐하였으며, 그 덕분에 호 내부에는 남성 전체 뼈의 반절 가량이 되는 화장묘로서는 드믈게 많은 양의 뼈가 납골 당시의 상황을 유지한 채 남아 있었다.

 화장골을 인류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①뼈의 균열과 뒤틀림으로 보아 근육과 힘줄이 남은 상태에서 화장되었던 것 ②납골된 뼈는 두개골과 손발의 뼈가 많고, 늑골 등의 흉부에서 복부 부근의 뼈가 적은 것으로 보아 나뉘어 매장 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 ③장골기 내부의 납골순서(뼈의 부위별로 납골 하는 등)에 규칙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장자와 관련하여서는 인류학적 분석 외에, 화장골의 성분・유적의 토양・납골기내에서 출토된 소토 등을 분석한 결과 ①40~59세의 남성 ②신장 158~160센티미터로 상반신을 자주 사용하는 생활양식이 있었던 것 ③비교적 영양가가 좋은 음식물을 섭취했던 것 ④서기800년 경 에 사망하고, 본 유적 주위에서 화장되었던 것 등을 알 수 있었다. 장골기로 스에키 호를 사용한 것과, 장골기 주위를 목탄으로 메웠던 것 등에서 하급관리를 배출하는 재지호족 출신으로 추정된다. 이 유적의 화장묘와 직접 관련된 문헌사료는 확인되지 않아 씨족명은 알 수 없으나, 적어도 고분시대중기부터 본 유적 주변을 본거지로 삼았던 재지호족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타츠베유적・타츠베고분군은 하나의 씨족 묘지의 양상 및 장골기에의 납골방법 등, 고대의 재지호족 묘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유적이다. (樫木規秀)

조사지역 주변 항공사진(1942년 당시)

대지 내에 계곡지형이 있고, 이를 이용한 저수지가 있다. 현재는 대부분이 매립되었다.

유구배치도

고분과 아스카시대~헤이안시대 전기의 분묘가 확인되었다. 출토유물 및 고분과 고대분묘의 위치관계로 보아 고분은 아스카시대 이후에도 관리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아스카시대의 토광묘

북벽과 동벽 중앙에 배 3점과 고배 1점, 편병 1점의 스에키를 부장하였다. 길이 212cm, 폭 58cm이다.

나라시대의 화장묘

장골기인 장군과 같이 호와 편병이 출토되었으며 모두 스에키이다. 장군은 표면에 금이 가고, 토기의 용착이 있어 불량품을 재활용하고 있다. 내부에서는 화장된 인골의 작은 파편이 소량 확인되었다. 장군의 길이 31cm, 높이 23 cm이다.

화장묘 출토 유물

장골기 호:구경 9.5 cm, 높이 23.6 cm, 뚜껑:구경 12.4 cm, 높이 3 cm.
마츠바라시(松原市) 지정 유형문화재

헤이안시대의 목관묘(서에서)

목관이 있던 위치에서 철못이 출토되었다. 목관내 북측에 스에키의 소호와 하지키의 접시・배가 부장되었다. 하지키의 접시와 배 3점은 겹쳐져 있었다. 길이 180 cm, 폭 62 cm이다. 헤이안시대 전기에 해당된다.

출전 : 일본 문화청 2023『발굴된 일본열도 2023 조사연구 최전선』 공동통신사

発信者
国際交流委員会
本文

고분주구에 모아 둔 하니와, 고분축조 준비 상황을 시사

 시모사토미 텐진마에유적은 군마현 중남부의 타카사키시 시모사토미마치(下里見町)에 위치한다. 시모사토미마치는 군마현과 나가노현(長野縣)의 경계에 솓은 하나마가리산(鼻曲山, 표고1654m)에서 흘러내려오는 카라스강(烏川)의 우안에 위치한다. 카라스강에 의해 상위, 중위, 하위의 하안단구가 형성되었으며, 유적은 하위 단구에 입지한다. 이 지역은 고분시대에는 많은 고분이 축조되어 사토미 고분군을 형성하고 있다. 이번에 소개하는 시모사토미 텐진마에유적은 사토미 고분군의 남동단에 위치한다.

 시모사토미 텐진마에유적은 세이모우(西毛)광역간선도로 정비사업에 따라 2020년 발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 죠몽시대 중기중엽의 수혈건물과 고분시대에서 헤이안시대에 걸친 수혈건물, 텐닌(天仁) 원년(1108년) 아사마산(浅間山) 분화에 따른 경석으로 매몰된 수전 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또한 조사 이전에는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던 고분시대 후기 원분 3기가 확인되었고, 그 중 3호분에서 출토된 하니와(埴輪)의 출토상황이 특히 주목을 끌었다.

 분구 직경은 1호분 12m, 2호분 4.9m, 3호분 15m(추정)로, 3호분이 가장 규모가 크고 가장 높은 장소에 조성되었다. 3호분은 일부만이 조사되었으나, 횡혈식석실의 묘광과 채움돌을 확인하였으며 분구와 주구에서 하니와가 출토되었다.

 3호분의 분구에서는 최하단이 묻인 상태의 원형하니와가 약 30cm 간격으로 줄지어 세워져 있었고 주위에는 파편이 흩어져 있었다. 전체 모습을 알 수 있는 것은 1점 뿐으로, 높이는 29cm로 매우 낮다.

 한편, 주구 내부에서는 동서 1.4m, 남북 2.2m 정도의 범위에 23점의 하니와와 2점의 스에키가 모여져 있는 상태로 출토되었다. 하니와는 말형하니와 1점, 인물하니와 1점, 원통하니와 17점, 나팔꽃형하니와 4점, 스에키는 직구호와 자라병 각 1점이다. 말형하니와와 인물하니와는 가까운 위치에서 발견되었고, 원통하니와와 나팔꽃형하니와는 구분되어 놓여 있었다. 말형하니와와 나팔꽃형하니와는 주구의 벽에 기댄 상태, 원통하니와는 겹쳐서 쓰러진 상태로 확인되었다. 2점의 스에키 역시 같이 출토되었으므로 종류별로 나뉘어 배치했음을 알 수 있다. 스에키 가운데 자라병은 바깥에서 때려서 바닥에 구멍을 뚫은 상태이다.

 보통 하니와는 고분의 분구에 세워지는데, 3호분과 같이 주구내에 모여진 상태로 출토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인근에 하니와 가마가 있었을 가능성은 생각하기 어려운데다 주구에서 출토된 원통하니와의 높이와 분구에 세워진 원통하니와의 높이가 확연히 다르기 때문에, 3호분에 사용하기 위해 준비했다고 보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인근의 고분 축조를 위해 준비한 것들이 어떤 사유로 사용되지 못하고 방치된 것이 아닐까 추정된다. 군마현내의 다른 유적에서도 고분의 주구 옆이나, 고분이 없는 유적의 토광내에서 하니와가 출토되는 사례가 확인된다. 이번 발견은 하니와의 유통과 설치 전의 집적상황을 이해 하는데 있어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大西雅広)

3호분 주구 내 하니와 출토상황(동에서)

말형하니와와 나팔꽃형하니와는 주구벽에 기대어 두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3호분 측량도와 하니와 집적 확대도

주구내의 하니와는 주구가 10cm정도 매립된 시점에 놓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원통하니와와 나팔꽃형하니와 위에 흩어져 있는 하니와 파편 중에 분구에 세워진 하니와 파편은 없었다.

분구와 주구의 하니와 출토상황(왼쪽이 북쪽)

사진 오른쪽 아래의 분구에 원통하니와의 바닥 부분이 줄세워져 있으며, 오른쪽 위의 주구에서 하니와와 스에키가 집적된 상태로 출토되었다.

인물하니와

머리 부분은 사게미즈라(양쪽으로 땋아 내린 머리 모양)만 남아 있다. 허리에 낫을 꼳았으며, 말형하니와와 함께 출토된 것으로 보아 마부로 추정된다. 높이는 62.4cm이다.

말형하니와

붉게 칠해져 있으며 주구벽측에 면한 쪽이(사진에 보이는 면) 선명하고, 반대쪽은 박락되고 퇴색되었다. 하니와가 묻히기까지 직사광선 등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높이 86cm이다.

원통하니와

왼쪽은 붉은색, 중앙은 백색 계통으로 보이지만 태토나 성형 기법은 같다. 오른쪽은 높이와 성형기법이 왼쪽 2점과 분명이 다르다. 높이:좌 35.9 cm, 중앙 38.9 cm, 우 29 cm이다.

출전 : 일본 문화청 2023『발굴된 일본열도 2023 조사연구 최전선』 공동통신사

発信者
国際交流委員会
本文

고지성취락에서 소형방제경과 단야로를 확인

 소우가이케(惣ヶ池)유적은 오오사카부 이즈미시(大阪府 和泉市)의 북부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시노다야마(信太山) 구릉의 표고 약 50~60m지점에 입지한 고지성취락이다. 고지성취락이란 지금으로부터 약 2천년 전에 산 정상이나 구릉의 능선에 만들어진 취락을 가르킨다. 1960년에 발견된 후 1965년, 1969년, 2011년에 발굴조사가 실시되어, 수혈건물・구・주혈 등이 확인되었다. 취락내에서 철기 가공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지적되었으나, 확실한 증거는 얻지 못하였다.

 2021년의 발굴조사에서는 야요이시대후기 중엽(약 1900년전)의 수혈건물・구・주혈 등의 유구와 함께 단야로가 설치된 수혈건물 등이 조사되었다. 금번의 조사로 길이 420m, 폭 60~80m의 취락 규모와 더불어 취락 내에서 철기가공이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은 야요이토기・반월형석도・석촉 등이 있으며, 그 중 주목되는 것은 킨키(近畿)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보이는 소형 방제경이다. 단야로와 소형방제경의 발견은 킨키지역 야요이시대 후기의 금속기문화를 밝히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단야로가 설치된 수혈건물은 직경 9.8m의 대형건물로 6개의 기둥을 세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중심부에는 구덩이가 있으며, 구덩이 주변으로 반경 1.25m의 범위에 걸쳐 숯과 소토가 집중되어 있다. 그 바깥쪽으로도 간격을 두고 숯과 소토가 분포하고 있다. 중앙의 구덩이와 숯・소토가 집중되는 범위는 ‘ㄷ’자 모양의 구로 둘러쌓여 있다. 또한 수혈건물 내부에서 지석과 고석 등의 유물이 소량 출토되었다. 이러한 특징으로 미루어 보아 중앙의 구덩이와 그 주변은 철기를 만들기 위한 단야로로 추정된다. 단야로의 주위를 ‘ㄷ’자 모양의 구로 둘러싼 구조는 유례가 없는 특징적인 것이다.

 소형 방제경은 당시 중국 한나라에서 만든 거울(異體字銘帯鏡)을 모방하여 일본열도에서 만들어진 청동제 거울이다. 소우가이케유적에서 출토된 소형 방제경은 조사구역의 남동쪽에 있는 토광에서 출토되었다. 뒷면의 문양은 잔존상태가 좋지 않으나 3차원 계측을 응용한 화상처리 결과 원래의 모델이었던 한경을 충실하게 모방한 
symble_01 」・「symble_02 」의 문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주연부의 폭이 좁은 것, 꼭지의 형태가 반원형인 것으로 보아 긴키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소형 방제경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소우가이케유적은 이즈미(和泉)지역에서도 유수의 규모를 가진 취락으로, 긴키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소형 방제경 등 당시의 귀중한 물건이었던 청동기・철기를 보유할 뿐 아니라, 철기 제작도 이루어졌음이 명확해졌다. 고지성취락은 종전에는 도피성 내지 방어적 취락 등의 폐쇄적이고 특수한 성격을 가진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근래에 들어 취락의 존속 기간과 출토유물, 취락에서의 전망 등을 포함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최첨단 유물 및 기술을 일찍이 수용한 선진적 취락으로서 소우가이케유적의 존재는 향후 고지성취락의 연구 뿐 아니라 이즈미지역, 더 나아가 일본열도에 있어서의 야요이시대 후기 사회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上田裕人)

소우가이케유적과 주변의 동시기 취락(●표시)

구릉상에 같은 고지성취락인 칸논지야마(観音寺山)유적・오오노이케(大野池)유적이 위치한다. 구릉 부분(초록색)은 표고 약 50m이다. 지도는 야요이시대의 지형을 추정 복원하였다.

유적원경(남동에서)

오사카만을 둘러싼 북쪽의 록코우산(六甲山) 산맥, 서쪽의 아와지시마(淡路島) 등이 조망된다. 북서쪽으로 2km 지점에 야요이시대의 거점 취락인 사적 이케가미소네(池上曾根)유적이 위치한다.

철기 단야로를 가진 수혈건물(북서에서)과 실측도

수혈건물의 중앙 구덩이 주위에 숯・재・소토가 분포하며 그것을 둘러싸듯이 ‘ㄷ’자 모양의 구가 설치되었다.

출전 : 일본 문화청 2023『발굴된 일본열도 2023 조사연구 최전선』 공동통신사

発信者
国際交流委員会
本文

산리쿠(三陸)의 바다에 접한 죠몽시대 후・만기의 패총

 오우쿠보패총은 미야기현 북동부 동일본 대지진 당시 쯔나미로 큰 피해를 입은 시즈카와만(志津川灣)의 가장 안쪽에 자리한다. 2014년 실시된 피해지 복구사업에 따른 조사로 유적이 확인되었으며, 2019년과 2020년에 걸쳐 패각층과 유물포함층이 발굴조사 되었다. 그 결과 죠몽시대 후기 중엽(약 3500년 전)의 하부 패각층과, 죠몽시대 만기 중엽부터 후엽(약 2800~2600년 전)에 걸친 상부 패각층이 확인되었다. 특히 상부 패각층에서 다량의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패각층에서 수거된 흙 전체에 대하여 최소 1미리미터 간격의 미세한 체를 이용한 체질 작업을 통하여 세밀한 자료까지 확보할 수 있었다.

 하부 패각층은 최하층의 평탄한 자갈층에 소규모로 형성되어 있으며, 분포 범위는 동서 약 10m, 남북 약 5m이다. 패각 외에 소량의 토기와 석기 등이 출토되었다. 당시의 식생활을 보여주는 것으로는 갯뻘 등에서 채취 가능한 굴이 많이 보인다. 또한, 자갈층의 상면 10군데에서 불을 사용한 흔적이 확인되어, 후기에는 강변이나 해변에서 쓰레기의 폐기나 불을 피우는 등의 활동이 간헐적으로 행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상부 패각층은 동서 약 17m, 남북 약 7m에 걸쳐 분포하며,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패각층이 두터워지며 조개와 뼈의 출토 상태도 양호해진다. 패각층에서는 당시의 식생활을 보여주는 다량의 패각과 뼈 등의 식량 잔해와 함께 토기・석기・골각기 등의 생활도구, 토우와 토면, 석봉 등의 제사 도구도 다수 출토되었다.

 패각과 어류의 뼈는 만 안쪽 모래사장에서 채집 가능한 바지락과 연안을 회유하는 정어리가 주를 이룬다. 또한 3만 점 가량 출토된 조수류의 뼈에서는 멧돼지, 사슴, 카마우지, 오리, 꿩 등이 많이 보여 이들이 수렵의 주요 대상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석촉이 박힌 다랑어와 사슴의 등뼈로, 작살과 활・화살을 활용한 어로와 수렵이 행해진 구체적인 과정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타지역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유물도 많이 출토되었다. 이와테현(岩手縣)의 키타카미강(北上川) 중류지역과 공통되는 특징을 가진 토기, 같은 지역에서 가져온 흑요석제의 석기, 동해측이 주요 산지로 알려진 접착제로 사용되는 아스팔트 덩어리, 이즈제도(伊豆諸島)・야쿠시마(屋久島) 이남에 서식하는 조개 오오츠타노하(삿갓조개의 일종)로 만들어진 장식품 등 원거리에서 가져온 것도 있다.

 오오쿠보패총은 죠몽시대 후기에는 주로 식량으로 이용된 조개를 처리하는 작업장으로 쓰였으나, 만기에는 주변의 산림과 하천, 바다에 한정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가져온 다종다양한 어패류나 동물, 돌 등을 식량과 도구로 이용한 뒤 폐기하였던 장소로 보인다. 산리쿠연안은 지진으로 인한 복구사업의 일환으로 죠몽시대의 패총이 많이 조사되고 있는데, 후기 중엽이후 시기에 해당하는 조사 사례가 적어 시즈카와만 안쪽에서 확인된 유적은 오오쿠보패총이 유일하다. 이는 산리쿠연안 뿐 아니라 동북지역에 있어서 죠몽시대의 생활과 더불어 환경 이용의 변천상을 밝히는 데 있어 중요한 성과라 할 수 있다. (西村力・梅川隆寛)

패각층 남북단면(동에서)

상부 패각층의 두께는 최대 약 75cm이다. 포함되어 있는 조개와 흙의 차이에 따라 300층 이상으로 세밀하게 구분되는 지점도 있다. 하부 패각층의 두께는 최대 약 10cm에 불과하다.

유적원경(북동에서)

서쪽에서 뻗어내린 구릉 동단부의 북사면에 위치한다. 인접하여 북측을 흐르는 미즈시리강(水尻川)은 바로 앞에 보이는 국도 45호의 아래를 통과하여 시즈가와만으로 흘러들어간다.

석촉이 박힌 다랑어(사진 좌)와 사슴의 등뼈

석촉의 각도로 보아 화살 또는 작살을 다랑어의 머리쪽에서 비스듬하게 위에서 내리 꽂은 것으로 보인다. 사슴의 등뼈는 사냥도구의 석기편이 깊이 박혔기 때문에 남아 있다. 상부 패각층에서 출토되었다. 다랑어 등뼈 석촉 길이 2.8cm, 다랑어 등뼈 지름 3.9 cm, 사슴 등뼈 지름 2.9 cm이다.

상부 패각층 출토 육지포유류

멧돼지, 사슴, 늑대, 개, 여우, 너구리, 수달, 산달(일본 서식 담비류), 족제비, 토끼, 날다람쥐의 머리뼈이다. 상부 패각층에서는 2만점 이상의 동물뼈가 출토되었다. 70%가 멧돼지와 사슴으로 멧돼지는 1세 미만의 어린 개체가 많다.

상부 패각층 출토 골각・조개제품

①~⑤는 사슴뿔제의 수렵・어로구이다. 조립식 작살(②)은 2개 한쌍으로 자루에 장착하고, 이것으로 끼운 물고기를 놓치지 않도록 미늘(③)을 선단에 부착한다. ⑥~⑩은 장신구이다. 조개 팔찌는 이즈제도・야쿠시마 이남에 서식하는 오오츠타노하제이다.

상부 패각층 출토 석기・석제품

석촉・석추・석비(동물의 가죽을 분리하는 도구)는 유적 주변에서 채집되지 않는 규질혈암 등으로 만들어졌다. 다른 유물은 주변에서 채집된 석재로 만들어져, 도구에 따라 석재를 나누어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석도는 사다리꼴의 머리를 가진 이와테현 키타카미강 중류지역 출토품과 유사하다. 석봉의 잔존 길이는 23.9cm이다.

상부 패각층 출토 토기

심발은 긴 구연부에 몇 줄의 평행선이 그려져 있다. 이와테현 키타카미강 중류 지역의 유적에 많으며, 미야기현에서의 출토는 드믈다. 주구토기, 얕은 발(우측), 호(우측)에는 만기 중엽의 특징적인 운형문이, 발, 얕은 발(좌측), 호(좌측)에는 만기 후엽의 특징적인 工자문이 그려져 있다. 좌측 얕은 발 구경은 20.5cm이다.

상부 패각층 출토 토제품

토제 가면 머리 부분에는 만기 후반의 특징적인 π자문이라 불리는 문양이 그려져 있다. 토제 이식과 토제 구슬은 장식품으로 보이며, 적색 안료로 채색되어 있다. 토제 가면의 잔존 길이는 15.3cm이다.

출전 : 일본 문화청 2023『발굴된 일본열도 2023 조사연구 최전선』 공동통신사